
재생불량성 빈혈 (Aplastic Anemia)은 골수의 조혈전구세포가 감소하여 충분한 혈액세포를 생성하지 못하는 질환입니다. 이로 인해 말초혈액에서는 적혈구, 백혈구 및 혈소판 등 모든 혈구의 감소, 즉 범혈구감소증 (pancytopenia)이 나타납니다. 재생불량성 빈혈의 진단과 치료를 위해 다양한 검사와 수치가 필요합니다. 아래는 재생불량성 빈혈의 검사 항목, 검사 결과, 검사 참고치에 대한 설명입니다.
1. 검사 항목
1.1일반혈액검사 (Complete Blood Count, CBC)
적혈구 (Red Blood Cells, RBC), 백혈구 (White Blood Cells, WBC), 혈소판 (Platelets), 교정망상적혈구 (Corrected Reticulocyte Count), 호중구 (Neutrophils)
1.2 골수검사 (Bone Marrow Examination)
골수천자 (Bone Marrow Aspiration), 골수생검 (Bone Marrow Biopsy)
1.3 염색체 검사 (Chromosome Analysis)
골수이형성증후군 (Myelodysplastic Syndrome, MDS) 감별
1.4 바이러스 감염
검사 간염 바이러스 (Hepatitis Virus), Epstein-Barr 바이러스, Cytomegalovirus (CMV), Parvovirus B-19 HIV
1.5 자가면역질환 검사
자가항체 검사 (Autoantibody Test)
2. 검사 결과 및 참고치
2.1 일반혈액검사 (CBC) :
- 적혈구 (RBC)
- 정상 참고치: 남성 4.5-5.9 x 10^6/µL, 여성 4.1-5.1 x 10^6/µL
- 재생불량성 빈혈 환자: 감소
- 백혈구 (WBC)
- 정상 참고치: 4.0-11.0 x 10^3/µL
- 재생불량성 빈혈 환자: 감소
- 혈소판 (Platelets)
- 정상 참고치: 150-450 x 10^3/µL
- 재생불량성 빈혈 환자: 감소
- 교정망상적혈구 (Corrected Reticulocyte Count)
- 정상 참고치: 0.5-2.5%
- 재생불량성 빈혈 환자: 감소
- 호중구 (Neutrophils)
- 정상 참고치: 1.5-8.0 x 10^3/µL
- 재생불량성 빈혈 환자: 감소
2.2 골수검사 (Bone Marrow Examination)
- 골수천자 (Bone Marrow Aspiration)
- 재생불량성 빈혈 환자: 조혈세포 감소, 저세포성 골수 (Hypocellular Marrow)
- 골수생검 (Bone Marrow Biopsy)
- 재생불량성 빈혈 환자: 조혈세포 감소, 지방 조직으로 대체된 소견
2.3 염색체 검사 (Chromosome Analysis)
- 골수이형성증후군 (MDS) 감별
- 재생불량성 빈혈 환자: 비정상 핵형 없음
2.4 바이러스 감염 검사
- 간염 바이러스 (Hepatitis Virus)
- 재생불량성 빈혈 환자: 음성
- Epstein-Barr 바이러스
- 재생불량성 빈혈 환자: 음성
- Cytomegalovirus (CMV)
- 재생불량성 빈혈 환자: 음성
- Parvovirus B-19
- 재생불량성 빈혈 환자: 음성
- HIV
- 재생불량성 빈혈 환자: 음성
2.5 자가면역질환 검사
- 자가항체 검사 (Autoantibody Test)
- 재생불량성 빈혈 환자: 음성

3. 재생불량성빈혈의 진단
빈혈의 진단은 말초혈액의 범혈구감소증과 골수검사 소견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일반혈액검사에서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의 감소가 관찰되며, 교정망상적혈구와 호중구의 감소도 확인됩니다. 골수검사에서는 조혈세포의 감소와 저세포성 골수가 관찰되며, 염색체 검사를 통해 골수이형성증후군과의 감별이 이루어집니다. 바이러스 감염 검사와 자가면역질환 검사를 통해 재생불량성 빈혈의 원인을 찾기 위한 추가 검사가 실시됩니다. 재생불량성 빈혈의 치료는 환자의 상태와 중증도에 따라 다르며, 면역조절치료, 조혈모세포이식, 지지요법 등이 포함됩니다. 치료 과정 중에는 적혈구 및 혈소판 수혈, 감염에 대한 항생제 치료 등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