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GFR은 사구체 여과율(Glomerular Filtration Rate)을 추정한 값으로, 신장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혈액을 여과하는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eGFR 수치는 신장의 기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며, 주로 만성 신장 질환(CKD)을 진단하고 관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신장이 손상되면 eGFR 수치가 감소하며, 이는 신장 기능의 저하를 시사합니다. eGFR은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를 기반으로 계산되며, 나이, 성별, 인종 등을 고려해 신장의 여과 능력을 추정합니다. 이 값은 신장 기능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민감한 지표로, 신장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정상
eGFR 수치 eGFR 수치는 연령, 성별, 인종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대체로 90 mL/min/1.73m² 이상이면 정상 범위로 간주됩니다.
2.1) 정상 범위: eGFR 90 이상 (정상 또는 고정상 신장 기능)
2.2) 경증 감소: eGFR 60 ~ 89 (신장 기능 경미한 저하) 2.3) 중등도 감소: eGFR 30 ~ 59 (중등도 신장 기능 저하, 3단계 만성 신부전)
2.4) 중증 감소: eGFR 15 ~ 29 (중증 신장 기능 저하, 4단계 만성 신부전)
2.5) 말기 신부전: eGFR 15 미만 (말기 신부전, 투석 필요)
2. eGFR 수치 계산 방법
eGFR은 주로 크레아티닌 수치를 기반으로 계산됩니다. 다양한 계산식이 있지만,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CKD-EPI(Chronic Kidney Disease Epidemiology Collaboration) 공식을 기반으로 한 것입니다. 이 공식은 나이, 성별, 인종을 고려하여 보다 정확한 eGFR 값을 제공합니다.
2.1) CKD-EPI 공식 (크레아티닌 수치 기반) eGFR 계산 공식은 성별과 나이에 따라 다르며,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를 기준으로 아래와 같이 계산됩니다.
공식: eGFR = 141 × min(크레아티닌/κ, 1)ᵃ × max(크레아티닌/κ, 1)⁻ᵇ × 0.993ᶰ × 1.159 (if African American)
κ: 남성의 경우 0.9, 여성의 경우 0.7
a: 남성의 경우 -0.411, 여성의 경우 -0.329
b: 0.9 (모든 성별) n: 나이 (정상 범위는 18세 이상)
min(x, 1): x와 1 중 더 작은 값을 취함
max(x, 1): x와 1 중 더 큰 값을 취함
예시: 성별: 남성 나이: 50세 크레아티닌 수치: 1.0 mg/dL 위의 값을 공식에 대입하여 eGFR을 계산합니다.
3. eGFR 수치 상승 또는 감소의 의미
3.1) eGFR 상승: eGFR 수치가 정상 범위 내에서 증가하는 경우는 드물며, 대개는 신장 기능 개선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상승한 경우는 잘못된 계산이나 실험실 오류일 가능성도 있으므로 확인이 필요합니다.
3.2) eGFR 감소: eGFR 수치가 감소하는 것은 신장 기능 저하를 의미합니다. 주로 만성 신장 질환(CKD)이나 급성 신손상(AKI) 등이 원인일 수 있으며, eGFR 값이 60 이하로 떨어지면 신장 질환을 의심하고, 15 미만이면 말기 신부전을 고려해야 합니다.
4. eGFR의 해석
eGFR 수치는 신장 기능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단독으로 사용되는 것보다는 다른 검사의 결과와 함께 해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1) 정상 (eGFR ≥ 90): 신장 기능이 정상 범위에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건강 상태나 다른 위험 요소들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4.2) 경증 감소 (eGFR 60 ~ 89): 신장 기능이 약간 저하되었음을 의미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으며, 정기적인 모니터링이 권장됩니다.
4.3) 중등도 감소 (eGFR 30 ~ 59): 만성 신부전의 3단계에 해당합니다. 신장 기능이 많이 저하되었으므로 적극적인 치료와 관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4.4) 중증 감소 (eGFR 15 ~ 29): 만성 신부전의 4단계로, 신장 기능이 매우 저하되었으며, 투석이나 신장 이식 등의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4.5) 말기 신부전 (eGFR < 15): 말기 신부전 상태로, 투석 또는 신장 이식이 고려되어야 합니다.
5. eGFR 검사 시 주의사항
5.1) 크레아티닌 수치의 정확성: eGFR 계산은 정확한 크레아티닌 수치를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크레아티닌 검사 결과가 정확해야 합니다. 또한, 검사 전 약물 복용 여부나 수분 상태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5.2) 나이와 인종: eGFR 계산에서 나이와 인종을 고려하기 때문에, 노인이나 특정 인종에서는 정상 범위가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경우 eGFR 계산에서 보정이 이루어집니다. 6.3) 건강 상태: eGFR 값은 단순히 신장 기능을 나타내는 지표일 뿐, 다른 병리학적 상태나 약물, 영양 상태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6. 종합 정리
eGFR은 신장의 여과 능력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와 나이, 성별, 인종을 고려하여 계산됩니다. 정상 범위는 90 이상이며, 값이 60 이하일 경우 신장 기능의 저하를 의미할 수 있습니다. eGFR 계산은 CKD-EPI 공식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며, 신장 질환의 진단과 관리에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이 수치를 해석할 때는 다른 검사 결과들과 함께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