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HBV - DNA 정량 검사하는 이유 및 검사수치

by 임상병리사건강일지 2025. 5. 1.
반응형


1. HBV-DNA란 무엇인가?

HBV-DNA는 B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B Virus, HBV)의 유전물질을 말합니다. 간세포 내에서 HBV가 복제될 때 혈액 속에 그 유전자가 함께 방출되며, 이는 바이러스의 활동성과 감염력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가장 정밀하고 민감한 지표입니다.HBV-DNA는 주로 정량적 PCR (qPCR: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방법을 통해 혈청이나 혈장에서 측정되며, 이를 통해 바이러스의 복제 수준을 수치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2. HBV-DNA 정량 검사의 목적

HBV-DNA 검사는 다음과 같은 임상적 목적에서 시행됩니다.
2.1. 감염의 활동성 평가
HBV-DNA 수치는 바이러스 복제의 직접적인 지표입니다. HBsAg나 HBeAg는 감염 여부를 나타내는 바이오마커이지만, 이들의 단독 결과로는 바이러스가 실제로 얼마나 증식하고 있는지 알기 어렵습니다.

  • 높은 수치: 바이러스 활발한 복제 → 감염 활성기
  • 낮은 수치 또는 미검출: 복제 억제 상태 → 비활동성 보유자

2.2. 치료 적응증 판단
B형 간염의 치료는 모든 환자에게 바로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HBV-DNA 수치, ALT 수치, 간 조직 상태, HBeAg 상태 등을 종합하여 결정합니다. HBV-DNA 수치가 일정 기준 이상일 경우, 항바이러스 치료 시작을 고려합니다.

  • HBeAg 양성의 경우: > 20,000 IU/mL
  • HBeAg 음성의 경우: > 2,000 IU/mL → ALT 수치 동반 상승 시 치료 필요

2.3. 치료 반응 모니터링

  • HBV 치료(예: 테노포비르, 엔테카비르 등 항바이러스제) 후, 바이러스 억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HBV-DNA를 정기적으로 측정합니다.
  • 치료 후 3개월 또는 6개월 간격으로 추적 검사
  • 이상적인 치료 반응: HBV-DNA 미검출(undetectable) 상태 유지

2.4. 항바이러스제 내성 또는 치료 실패 판단
치료 중 HBV-DNA 수치가 감소하지 않거나 다시 상승할 경우, 약제 내성 변이 또는 복약 순응도 문제를 의심해야 함 이 경우, HBV 유전자 변이 검사 또는 약물 변경 고려
2.5. 간암(HCC) 고위험군 선별 및 예후 추적
고HBV-DNA 혈증 상태(특히 2,000 IU/mL 이상)를 장기간 유지한 환자는 간경변증이나 간세포암 위험이 증가함 따라서 장기적인 감시 및 조기 치료 전략 수립에 중요
 

3. 검사 방법

HBV-DNA 정량 검사는 Real-time PCR (qPCR) 또는 Transcription-mediated Amplification (TMA) 등의 분자진단 기술을 사용하여 측정합니다.
검체: 일반적으로 환자의 혈청 또는 혈장 사용
정량 단위: IU/mL (International Units per milliliter) — WHO 기준에 따른 표준화된 단위
검사 민감도: 대부분의 최신 장비는 10~20 IU/mL 미만까지 검출 가능
 

4. 검사 수치의 해석

HBV-DNA 수치는 정량적 수치로 보고되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임상적 해석 기준을 따릅니다.
수치 범위 해석 및 임상적 의의
미검출 (Undetectable) 바이러스 복제가 완전히 억제된 상태, 치료 목표 달성

  • < 2,000 IU/mL : 비활동성 보유자(inactive carrier) 가능성 높음
  • 2,000 ~ 20,000 IU/mL : HBeAg 음성 환자의 치료 기준 고려 범위
  • > 20,000 IU/mL : 바이러스 활발한 복제 상태, 치료 필요 가능성 높음
  • > 10⁷ IU/mL : 고바이러스 혈증 상태, 간 손상 가능성 및 전염성 매우 높음

 
※ 참고: 일부 보고서에서는 IU/mL 대신 copies/mL로 보고되기도 하나, 국제 표준으로는 IU/mL가 권장됨. (1 IU/mL ≒ 약 5~6 copies/mL)
 

5. 주의사항 및 검사 해석 시 유의점

단일 수치로 판단 금지: 반드시 ALT, HBeAg 상태, 간 조직 검사 결과와 함께 통합적으로 해석
검체 보관 상태 중요: 검체의 냉동보관 실패 시 DNA 분해로 위음성 가능
복약 순응도 확인 필요: 치료 중 DNA 수치 상승 시 환자의 복약 상태 확인 필수
 

6. 요약 및 결론

HBV-DNA 정량 검사는 B형 간염 환자의 감염 단계, 치료 여부 판단, 치료 경과 추적, 예후 예측 등 모든 단계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핵심 검사입니다. 수치가 높을수록 바이러스 복제가 활발하고 간 손상 가능성이 높아 적극적인 치료와 관찰이 필요합니다.
 

반응형